일본 여행 시 STSS(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) 유행 주의

치명률이 30%가 넘는 것으로 알려진 STSS(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)이 일본에서 크게 유행하고 있습니다.

일본 여행 시 STSS(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) 유행 주의

일본 여행시 참고

​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일본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대비를 당부했는데요.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거나, 최근 일본을 다녀오신 여행객이라면 STSS의 원인과 증상, 예방법 등을 꼼꼼하게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!

 

​STSS(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)란?

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(=STSS)는 A군 연쇄상구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감염증을 말합니다. 연쇄상구균의 독소로 인해 체내에 심각한 염증반응을 일으키면서 다발성 장기부전과 쇼크를 일으키는데요.

일본 여행 시 STSS(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) 유행 주의

STSS 원인 및 감염 경로 ​

STSS의 원인이 되는 A군 연쇄상구균은 주로 목구멍이나 피부에 존재합니다. 감염병의 일종인 STSS는 주로 점막이나 피부 상처를 통한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됩니다. 또한 낮은 확률이지만 기침이나 재채기 시 확산되는 비말에 의한 호흡기 감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.

일본 여행 시 STSS(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) 유행 주의

 

​STSS 감염 증상

​A군 연쇄상구균 감염 시 갑작스러운 발열, 인후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. 구역, 구토 등의 증상과 편도 발적, 부종, 목 부위 림프절 크기 증가, 전신 발진 등이 동반되기도 하는데요. 초기증상이 감기 혹은 독감 증상과 유사한 편입니다.

​집중 치료

건강한 사람이 빠르게 집중 치료를 받으면 비교적 경미한 증상을 보이다가 회복하게 됩니다. 하지만 고령의 환자이거나 당뇨병, 암 등으로 인해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이라면 치사율이 높은 ‘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(STSS)’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.

​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 증상

연쇄상구균 독성쇼크증후군 증상으로는 쇼크, 장기부전, 심한 피부 발진, 호흡 부전, 혈압 저하, 빈맥, 발열, 의식 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급성 류마티스열, 사구체신염, 괴사성 근막염, 균혈증, 폐렴, 중이염, 다발성 장기부전 등의 합병증 증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.

​장기부전

이 같은 증상은 손발 괴사부터 시작해 급격히 증상이 악화되는데, 불과 몇 시간 안에 장기부전을 일으킬 정도로 빠르게 감염이 되는 것이 특징입니다. 증상이 심하거나 쇼크에 빠지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.

합병증

갑작스러운 고열, 인후통, 발진, 구역, 구토, 편도 발적, 목 림프절 증가 등 증상이 심해지면 쇼크, 장기부전, 혈압 저하, 빈맥, 발열, 의식 저하와 신부전, 간부전, 호흡부전, 혈관 응고 등 발생 급성 류마티스열, 사구체신염, 괴사성 근막염, 균혈증, 폐렴, 중이염, 다발성 장기부전 등의 합병증 발생 ​

STSS 예방법

​현재 일본에서 급증 중인 STSS는 새로운 균주로 기존 균주보다 독성이 강하고 전파력이 높아 더욱 주의가 요구되고 있는데요. 현재까지 개발된 백신이 없기 때문에 균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
​올바른 기침 예절

예방법으로는 올바른 기침 예절 실천하기, 올바른 손 씻기, 씻지 않은 손으로 눈, 코, 입 만지지 않기 등이 있습니다. 또한 상처가 나면 깨끗하게 소독하고 상처 부위의 노출을 최소화해야 합니다. 감염 환자와 가까운 접촉을 한 경우에는 예방적 항생제 투여를 고려하거나, 수두 및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도 권고됩니다.

​신속하게 의료기관에 알리기

​더불어 해외여행객이나 감염 환자와 접촉한 사람이라면 고열, 발진, 심각한 근육통, 상처 부위의 발적, 부종 등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신속하게 의료기관에 사실을 알려 초기 발견 및 치료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. 응급치료가 필요한 STSS 환자에게는 고용량 항생제와 함께 집중 치료가 실시됩니다.

​기참, 손 씻기 생활화

  • 올바른 기침 예절 실천
  • 올바른 손 씻기 생활화
  • 씻지 않은 손으로 눈, 코, 입 만지지 않기
  •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소독하고 상처 부위의 노출 최소화하기
  • 의심증상(고열, 발진, 심각한 근육통, 상처 부위의 발적, 부종 등)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치료받기
  • 수두 및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권고 (*인플루엔자 및 수두 감염 시 A군 연쇄상구균의 감염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.)
  • 감염 환자와 밀접 접촉한 경우 예방적 항생제 투여 고려 ​

 

일본 여행 시 각별히 주의

​국내 질병관리청에서는 “STSS는 사람 간 접촉을 통한 전파가 드물기 때문에 국내 유행 가능성은 낮을 것”으로 예측했는데요. 하지만 일본에서 유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, 동일 원인균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 가능성도 높은 만큼, 일본 여행 시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주시기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