열심히 연금저축을 넣었는데,
정작 연금 수령할 때 세금 폭탄 맞을 수도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셨나요?
2025년 기준으로 연금저축 수령 시 적용되는 세금 구조와,
세금을 최소화하는 방법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✅ 연금저축 수령 시 세금 구조부터 이해하자
- 수령 시점: 만 55세 이상부터 수령 가능
- 수령 조건: 최소 5년 이상, 분할 수령해야 “연금소득세율” 적용
- 세율 구조:
연령 | 연금소득세율 |
---|---|
70세 미만 | 5.5% |
70세 이상~80세 미만 | 4.4% |
80세 이상 | 3.3% |
📌 즉, 나이 많을수록 세율이 낮아짐!
단, 일시 인출, 5년 미만 수령, 55세 이전 수령 시
👉 *기타소득세 16.5%*가 부과됩니다.
💸 세금을 줄이는 5가지 실전 전략
① 수령 시기를 최대한 늦춘다
- 만 55세에 바로 받지 말고 70세 이후 수령하면 세율이 5.5% → 4.4%로 줄어듭니다.
- 노후자금이 급하지 않다면 늦출수록 유리!
② 매년 수령액을 1,200만 원 이하로 조절한다
- 연금소득이 연 1,200만 원 초과되면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.
- 이 경우 다른 소득(근로소득, 임대소득 등)과 합산돼 세금 폭탄이 올 수 있음.
- 👉 연 100만 원 이하로 쪼개서 받는 게 유리!
③ 연금저축과 IRP를 나눠 수령한다
- IRP와 연금저축 모두 연금으로 받을 수 있지만,
👉 동시에 많이 받으면 합산 과세되므로
👉 연도별로 번갈아 수령하거나 비율을 조정하면 효과적
④ 분할 수령 기간을 10년 이상으로 설정
- 분할 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연금소득세율(5.5%) 적용 가능
- 하지만 10년 이상이면 연도별 수령액이 줄어들어 종합소득세 피하기 쉬움
⑤ 다른 소득이 없는 시기에 수령
- 은퇴 직후 등 근로소득이 없는 시기에 연금 개시하면
👉 세율 합산 이슈를 피할 수 있음
👉 소득 없는 시기 + 낮은 세율 나이대 = 최대 절세 효과
✅ 예시 계산: 세금 얼마나 차이 날까?
조건 | 수령액 | 적용 세율 | 실제 수령액 |
---|---|---|---|
65세, 연 1,500만 원 수령 | 1,500만 원 | 5.5% | 약 1,417만 원 |
72세, 연 1,000만 원 수령 | 1,000만 원 | 4.4% | 약 956만 원 |
81세, 연 1,000만 원 수령 | 1,000만 원 | 3.3% | 약 967만 원 |
📌 단순히 시기 조정만 해도 수십만 원 이상 절세 가능!
❗️주의할 점
- 세액공제 받은 금액만 과세 대상
👉 본인 추가 납입분은 과세 제외! - 중도 인출은 피할 것
👉 기타소득세 16.5%로 역대급 비효율 - 연금저축 해지 시 전액 환수
👉 세액공제 받았던 것까지 다 토해냄
🔖 요약 정리
항목 | 절세 포인트 |
---|---|
수령 시기 | 가능하면 70세 이후 수령 |
수령 금액 | 연 1,200만 원 이하 유지 |
수령 방식 | IRP·연금저축 분산, 10년 이상 분할 |
세율 낮추기 | 연령 높을수록 유리 (최대 3.3%) |
수령 타이밍 | 소득 없는 시기 활용 |
📌 결론
연금저축은 넣을 때만큼
받을 때도 전략이 필요합니다.
55세부터 받는다고 무조건 좋은 게 아니고,
언제, 얼마를,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세금 차이가 수백만 원 이상 날 수 있어요.
미리 수령 계획을 세워두고,
세액공제 혜택을 ‘온전히 지킬 수 있는’ 수령법을 선택하세요! 💰
[관련 글 보기]
👉 [IRP와 연금저축, 2025년 뭐가 더 이득일까?]
👉 [IRP ETF 추천 상품 총정리 (2025년 버전)]
👉 [연말정산 세액공제 최대화 전략 완전정리]
답글 남기기